목록전체 글 (90)
Post-IT
네트워크가 구성이 되면 우리는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에는 회선교환과 패킷 교환이 있는데, 해당 교환 방식의 장단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1.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회선 교환은 데이터를 1:1로 직접 교환하는 방식이고, 대표적인 예로는 전화망이 있다. 내가 통화를 한다고 했을 때, 나와 상대방이 하나의 회선으로 연결되어, 통화하는 동안에는 해당 회선으로 음성을 주고 받게 된다. 이 방식이 바로 회선 교환이다. 즉,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 특정 회선을 정해두고 통신이 끝날 때까지 독점하는 방식이다. 회선 교환 방식도 그 안에서 두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는데 데이터 통신시에 주파수 대역을 독점하는 FDM(Frequency Division Mul..
네트워크는 매체간의 연결하고 통신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에도 통신 영역에 따라 LAN, MAN WAN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통신 영역을 구분 짓는 이유는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은 그 안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1. LAN : Local Area Network LAN은 개인용 컴퓨터와 워크스테이션이 데이터, 도구 및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연결합니다. 연결되는 장치의 수가 적고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사무실 건물, 가정, 학교, 등에서 사용되어, 유지보수 및 관리가 쉬운 편입니다. 2. 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은 LAN에 비해서는 넓은 영역을 포함합니다.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한 도시내의 ..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링크, 노드)를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혹은 그 방식을 말한다. 1. 트리형 트리형 네트워크는 트리(Tree) 구조의 형태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통제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하지만,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위 노드에서 장애 발생시 하위 노드들에게 전부 영향이 간다. 2. 버스형 버스형 네트워크는 중앙회선 하나에 여러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태이다. 하나의 컴퓨터가 장애가 생겨도 전체적인 네트워크에는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 회선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준다. 3. 스타형 스타형 네트워크는 중앙에 있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다른 노드들이 연결된 중앙 집중식 형태이다. 유지..
비트 레이트(Bit Rate) 비트 레이트는 초당 얼마나 많은 데이터(0 or 1)을 전송할 수 있는가를 말하며 우리가 BPS(Bit Per Second)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어느 모뎀의 데이터 전송률이 1200bps이라면 이 모뎀은 1초에 1200비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 레이트(Baud Rate) 보 레이트는 초당 얼마나 많은 신호/심볼(의미를 가지는 데이터 묶음)을 전송할 수 있는가를 말한다. 쉽게 말해 초당 신호 전송률을 말한다. 예를들어 하나의 신호가 4bit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위와 같이 1200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환경에서 300Baud 즉 초당 300개의 신호를 보낼 수 있음을 말한다. 즉, 비트 레이트와 보 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S : 보 레이트(B..
데이터 통계에서 변수는 분석하는 기준에 따라 변수를 다르게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데이터의 수량에 따른 구분은 질적변수와 양적변수로 나눌 수 있다. 질적변수(Qualitative Variable) : 질적변수는 범주형변수(Categorical Variable)이라고도 불리며 데이터가 특정 범주에 포함되는 변수를 말한다. 질적변수의 예로는 색깔(빨, 주, 노, 초), 혈액형(A, B, O, AB), 등과 같은 것들이 있다. 양적 변수(Quantitative Variable) : 양적변수는 변수의 값을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를 말한다. 양적변수의 예로는 기온, 점수, 등 과같은 것들이 있다. 위와 같은 정의로 보았을때, 쉽게 이해가 되기도 하지만 정말 정확하게 두 변수를 구분지으려면 관측될 확률로..
컴퓨터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소프트웨어 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이 바로 운영체제이다. 이 운영체제도 세분화가 가능하다. 커널 : 컴퓨터에서 항상 실행되는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 운영체제와 연관되어 있지만 커널의 일부일 필요는 없는 소프트웨어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부로 컴퓨터 자원(CPU, 메모리, 파일, I/O, 네트워크, 등)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와 상관없이 스스로 자원을 관리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불가하다. 하지만 시스템 프로그램안에 존재하는 쉘(Shell)이라는 친구로 커널에 접근이 가능하기도 하다. 쉘(Shell) :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전달하는 명령을 해석하는 프로그램 우리가 한번 쯤은 써봤을 친구들인데, 윈도우에선 명령프롬프트, 리눅스에선 터미..
오늘은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인터럽트를 공부해 보자. 일반적인 컴퓨터 작업을 생각해보면, 입출력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장치 드라이버는 장치 컨트롤러의 적절한 레지스터에 값을 적재한다. 그런 다음 장치 컨트롤러는 이러한 레지스터의 내용을 검사하여 수행할 작업을 결정한다. 이때 컨트롤러에서 로컬 버퍼로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전송이 완료되면 장치 컨트롤러는 장치 드라이버에게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후에 운영체제의 다른 부분에 제어를 넘긴다. 이때 작업 완료를 알리는 방식이 인터럽트이다. 위 사진은 인터럽트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하드웨어는 어느 순간이든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U에 신호를 보내 인터럽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CPU가 인터럽트 되면 위와 같이 하던일을 중단하고, 서비스..